안녕하세요, 열심 개미입니다. 앞으로 열심 개미의 정보 마당 블로그, 열심히 활동하겠습니다^^
제가 활동하는 지역에서는 어제도 그리고 오늘 오전에도 비가 계속 내렸는데요. 올 장마는 비가 더 많이 온다고 하니 걱정입니다. 그래서 블로그 첫 글로 장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장마' 어원
저는 막연하게 '장마'라는 말의 '장'이 한자 '길 장(長)'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네요. 네이버 국어 사전에 따르면 '장마'의 옛말은 '댱마'라고 하며 16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고 합니다. '당마'가 구개음하로 '쟝마'가 되고, 다시 '장마'로 되었으며 '장마'라는 단어는 19세기 문헌부터 나온다고 하네요.
'장마'가 한자인줄 알았더니, 우리말이었군요.
그럼 장마를 의미하는 한자는 뭐가 있을까요? 찾아보니, 익숙하지 않은 '매우 梅雨(매화 매, 비 우)'라는 한자가 나오네요. 매화나무 열매가 익어서 떨어질 때(6월 중순부터 7월 상순)에 지는 장마라는 군요.
네이버 영어 사전에 장마를 검색해 보면, rainy season, (summer) moonsoon 이라고 나오는군요. 장마철은 the rainy[wet] season이라 하고요.
장마와 우기는 같은건가?
위에서 장마를 영어로 보면 '우기'와 비슷해 보이는데, 그럼 장마와 우기는 같은걸까요?
장마와 우기는 비슷한 개념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장마(梅雨)는 주로 동아시아에서 나타나는 기후 현상으로, 아열대와 한랭대 공기의 충돌로 인해 여름철에 지속적인 비가 오는 기간을 가리킵니다. 주로 6월부터 7월에 이르는 기간에 발생하지만, 지역에 따라 변동할 수 있습니다. 장마는 비가 지속적으로 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우기(季節)는 일반적으로 특정 지역에서 연중을 대표하는 두 가지 기후 패턴 중 하나를 가리킵니다. 여기서 "우"는 여름철을, "기"는 겨울철을 의미합니다. 우기는 일반적으로 일년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계절로 구분하는 대신, 여름철과 겨울철의 기후적 특징을 강조하여 분류합니다.
필리핀의 경우, 필리핀 우기는 주로 봄부터 가을까지 이어지는 비교적 따뜻하고 습한 기간을 가리킵니다. 필리핀은 태풍이나 저기압의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이러한 기후 조건으로 인해 비가 자주 오고, 때로는 강한 폭우와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필리핀 우기는 장마와 유사한 현상이며, 비가 많이 오는 기간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리핀의 우기는 장마와 유사한 현상이지만, 정확히 같은 개념은 아닙니다. 각각의 지역에서는 그 지역의 기후 패턴과 명칭에 따라 비슷한 현상을 다르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른 아시아권 나라 장마
한국, 중국, 일본 이외의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도 장마와 유사한 기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는 지리적으로 다양한 기후와 지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마의 발생 시기와 패턴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에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태풍이나 몬순(몬순 기간)이라고 하는 기간에 강한 비가 올 수 있습니다. 몬순은 주로 인도, 태국, 필리핀, 베트남 등에서 관찰되며,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발생합니다.
남아시아: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몇몇 나라에서 몬순 현상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인도의 모파니, 방글라데시의 바아이(Barai)와 모말(Momal) 기간 등이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강한 비가 오며, 일부 지역에서는 홍수와 산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인도네시아의 모노순 기간이 있습니다. 모노순은 일부 지역에서 지속적인 비가 3~4개월 동안 계속될 수 있는 기간입니다.
이처럼 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도 장마와 유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역마다 명칭과 특징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미국, 유럽의 장마
미국과 유럽에도 장마와 비슷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그 특징과 발생 원인은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아시아에서의 장마는 주로 아열대와 한랭대 공기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반면, 미국과 유럽에서의 비슷한 기상 현상은 일반적으로 열대 저기압이나 높기압 영향 아래에서 발생합니다.
미국에서는 '모잉', '허리케인 시즌' 또는 '북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이라고 하는 열대 저기압의 활동이 주요한 비 오는 시기입니다. 이는 주로 6월부터 11월 사이에 발생하며, 허리케인이나 토네이도와 같은 강한 폭풍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대서양 상에서의 해류와 기압 차이, 대륙적 기압 변동 등이 비슷한 기상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서양 상의 북대서양 풍속(Atlantic jet stream)이 유럽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비가 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중해 지역에서는 '마라' 또는 '시로코'라고 알려진 사막에서 불어오는 고온 건조한 바람이 비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처럼 장마와 유사한 현상은 지리적, 기후적 조건에 따라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역에서 고유한 이름이나 특징을 갖고 있을 수 있습니다.
2023년 장마 기간
올 해 장마는 6월 25일(일) 부터 시작해서 7월 말은 물론, 8월에도 집중호우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작년에도 강남역 침수 등 여러 세대의 침수로 인한 재산 피해 그리고 침수 및 산사태 등 여러 사건 사고로 인명 피해까지 발생했는데, 올해는 큰 피해 없기를 바래봅니다.